쇼미더 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 PART 2 > 문화유산 이모저모 청와대 어린이 홈페이지

쇼미더 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 Part 2 > 문화유산 이모저모 청와대 어린이 홈페이지

쇼미더 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 Part 2 > 문화유산 이모저모 청와대 어린이 홈페이지

Blog Article


그러나 17세기 이후에는 차츰 장자 단독상속이 유행하고 노비의 도망도 심해져 작개제는 빠른 속도로 소멸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많은 농서가 간행되었다. 효종 때 신속(申洬)은 『 농가집성』을 펴냈고, 숙종 때 박세당(朴世堂)은 『 색경』을 간행하였는데, 이는 밭농사에 중점을 둔 것이었다. 같은 시기에 홍만선(洪萬選)이 낸 『 산림경제』도 넓은 의미의 농서에 해당하고, 헌종 때 서유구(徐有榘)가 낸 『 임원경제지』는 후기 농서의 집대성이었다. 고려 말에 원나라의 농서인 『농상집요주105』가 간행되기는 하였으나, 우리 실정에는 맞지 않는 것이었다.


18세기 후반에 동족마을이 서당 설립의 가장 주요한 주체가 되자, 서당의 성격에도 뚜렷한 변화가 나타났다. 동족마을은 서당의 운영을 위하여 문중 중심의 화수회(花樹會)주216를 만들기도 하고, 학전(學田)과 학름(學廩)을 비치하기 위한 서당수호절목(書堂守護節目)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종손을 중심으로 한 종중(宗中)이 서당을 공동관리하였으며, 강학 외에 문중의 대소사도 처리하였다.


가장 힘들었던 순간이 언제냐는 물음에 그는 지그시 눈을 감으며 "힘들다고 생각할 여유도 없었다"고 답했다. 당시 살고 있던 궁에서 신군부에 의해 쫒겨나야 했고, 사람들도 조선 왕실에 대해 욕을 했다. 이런 그의 모습을 보고 한 왕가 어른은 "아무리 시대가 바뀌어도 어떻게 왕손이 광대가 되냐"며 땅을 치며 울었다고 한다. 하지만 한국에 남아있는 왕자는 그가 유일해 '마지막 황손'으로 불린다.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홈페이지 내의 모든 문구 및 이미지에 대한 무단 도용 및 복제 사용을 금지합니다. 홈페이지는 운영체제(OS):Windows 7이상, 인터넷 브라우저:IE 9이상, 파이어 폭스, 크롬, 사파리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이러한 비변사에 의한 문무 고관의 합의제는 고종 초까지 계속되었다. 그럼에도 의정부의 정부 최고기구로서의 권위는 형식상으로나마 갑오개혁 때까지 지속되었다. 폭군으로 악명이 높은 연산군조차도 대개 대신의 동의를 구하여 권력을 행사하였다. 어느 군주나 중요한 현안에 대해서는 대개 재상, 곧 2품 이상 관직자들을 불러 의견을 들었고, 중요성이 더 높으면 더 많은 관직자의 의견을 들었다. 이는 국왕이 자신의 뜻대로 일을 진행하기 위한 명분을 만드는 수단일 수도 있었으나, 여러 사례로 볼 때 훌륭한 의견을 찾는 좋은 방법이었다.


그런데 각각의 경우마다 속미음에 들어가는 인삼의 분량과 복용하는 기간이 다르게 규정되어 있다. 대개는 국휼이나 사친상 때 받는 스트레스가 보다 크기 마련이기 때문에, 그런 경우에는 인삼의 분량과 복용기간을 늘리도록 했던 것이다. 인삼속미음을 복용하는 이유는 상중에 효성을 표현하기 위해 음식을 줄였던 것과도 관련이 있는 것 같다. 국왕은 상중에 반찬의 가짓수를 줄이는 소선(素膳)을 하게 되는데, 반면에 신하들은 왕의 식사가 부실하여 건강을 해치게 될까 염려하여 되도록 전처럼 식사를 하도록 간청하는 형식을 취했다. 소선에서 신하들이 가장 염려하는 것은 왕이 고기반찬을 들지 않으면 건강이 나빠질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대부분 왕은 슬픔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바로 이전처럼 수라상을 들지 않았으므로, 이와 같은 신하들의 요청을 뿌리치기 일수였다.


예종은 현재로 치면 초등학교 5학년인 12세에 아버지가 된 것이다. 청계천은 하천 조성과정이나 도시 한가운데에 자리하고 있다는 지리적인 위치 상 조선왕조 500년 동안, 근대 100년 동안의 서울의 역사문화, 서울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게된 것은 필연적이었다. 청계천은 도성 주변의 산과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물줄기들이 모여 도성 한가운데를 동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도심하천이었다. 조선시대에는 '개천(開川)'이라 불렀는데, 이것은 '내를 파내다'라는 뜻으로 청계천이 자연하천이 아니라 생활의 필요에 의하며 어느 정도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인공하천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이번 강연에서는 역병에 대처하여 조선 왕실이 펼친 지혜로운 방역 정책을 다양한 측면에서 소개합니다.


이조 전랑 자대제는 문반 당하관의 인사행정 실무를 담당하는 관직자가 자신의 후임자를 천거하여 사실상 왕권에 대해 자율적으로 인사권을 행사하는 관행이었다. 여기에는 이조 전랑이 사림의 공론을 반영한다는 명분이 깔려 있었다. 이에 더해 삼사 관원을 임명할 때의 천거권도 이조 전랑이 행사하게 됨으로써 사림정치의 자율적 재생산과 정화 기능이 작동하게 되었다. 이로써 문무 고관이 합의제를 바탕으로 국정을 주도하는 비변사와 이조 전랑의 자대제 및 통청권의 연계 위에 작동하는 사림정치가 상호 견제하는 구도가 유지되었다. 조선의 정치 기구는 의정부에서 육조, 육조의 속사(屬司)와 속아문(屬衙門)으로 이어지는 행정 담당 관서가 중심축을 이루고, 국왕과 직접 연결되는 주요 관서가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정치 기구의 배치 구조는 『경국대전』의 완성과 함께 정립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노비는 마치 서구 농노처럼 상전의 토지에 묶여 그것을 경작함으로써 연명하였다. 조선 전기에는 토지를 소유한 농민이 7할이었으나 후기에는 토지 없는 농민이 7할로 역전되었다. 자작 농민은 국가에 전세를 물고, 소작농인 전호는 전주에게 병작반수제(竝作半收制)에 따라 수확량의 2분의 1을 전조(田租)로 바쳤다. 실제 문과 응시는 양반 자제에게만 허락되었고, 무과는 천민만을 제외하고 응시의 문을 넓혔다.


이처럼 앞 시기로 갈수록 추정치의 편차가 큰 까닭은 1925년의 간이 국세조사 결과 파악된 총인구수 1902만 30명을 기준으로 연구마다 각기 변수를 달리 설정하여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계산한 데에 있다. 태조가 조선을 세우는데 공헌하였으며, 왕자들의 왕위 다툼(왕자의 난)에서 이겨 왕위에 오름.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이 직접 문서를 고칠 수 있으며, 다른 사람의 의견을 원할 경우 직접 토론을 발제할 수 있습니다.


향소의 기능을 뒷받침해주는 지방 자치규율로 향약(鄕約)이 있었다. 중국 남송의 주자(朱子)가 정리한 향약을 모범으로 삼아 중종 때 김안국 등 기묘사림에 의해 처음 시행되었다. 그 뒤 이황(李滉)의 예안향약(禮安鄕約), 이이(李珥)의 서원(西原) 및 해주(海州) 향약 등이 행해지면서 전국에 파급되었다. 향약의 4대 강령인 이른바 좋은 일은 서로 권하고[德業相勸], 잘못은 서로 규제하며[過失相規], 예속은 서로 교환하며[禮俗相交], 어려움은 서로 돕자[患難相恤]는 것은 유교의 도덕규범을 지방 자치규범으로 적용한 것이었다. 관찰사는 도내의 각 수령을 감독할 임무를 띠고 행정과 사법을 총괄하였고, 병마절도사와 수군절도사도 겸하여 군사권까지 장악하거나 감독권을 행사하였다. 그 까닭에 관찰사는 출신지에 임명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었고, 임기도 1년으로 제한하였다.

양주 오피 양주 오피 양주 오피 양주오피후기

Report this page